• 북마크

차량관리&튜닝

RPM게이지가 오르락내리락, 불안정한 원인과 해결법

본문

모든 내연기관 자동차의 계기판에는 속도게이지와 RPM게이지가 있습니다.

여기서 RPM게이지는 엔진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인데요.

자동차가 덜덜거리고 RPM이 오르락내리락 불안정해진다면 자동차의 문제가 있다는 신호입니다.

오늘은 이 RPM게이지의 개념과 이상증상의 원인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fab3eb9dbffc33e2157fc436a5a14be3_1666143326_8443.jpg

RPM(Revolutions Per Munute)은 말그대로 분당회전수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차량마다 다르지만 RPM계기판에는 0~9의 숫자가 표기되어 있는데요.

여기서 1은 1,000rpm을 뜻하며, 이는 1분에 엔진이 1,000바퀴를 돈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RPM이 높아지면 당연히 엔진회전수도 증가하게 되는데요.

RPM은 엔진의 분당회전수를 나타내기 때문에 엔진에 이상이 발생하면 게이지의 수치가 오르락내리락 하거나 불안정해지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는 여러가지 이유를 들수 있는데요.

이런 이유와 해결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엔진부조 현상과 ECU *

엔진부조란 실린더 내부에서 연료폭발이 원활하지 못해 발생하는 엔진 이상현상 입니다.

엔진이 동력을 얻기 위해서는 연료의 흡입-압축-폭발-배기 과정이 필수적인데요.

이때 ECU(Electronic Control Unit)라는 자동차 내 전자제어 장치가 엔진과 관련된 다양한 센서에서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투입되는 연료의 양과 점화 타이밍, 엔진 회전속도, 가변밸브 타이밍 등을 조절해 주는데요.

이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엔진 부조현상이 발생하여 RPM이 불안정해지고 사람이 떨듯이 자동차도 덜덜거리며 떨게됩니다.

이러한 엔진부조는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게 되지만, 주요원인을 중심으로 알아보았습니다.

1. 흡기계통 오염 및 불량

스로틀바디(Throttle body) : 스로틀바디는 에어클리너를 통해 들어온 공기가 엔진으로 들어가는 양을 조절해 주는 장치인데요.

이 스로틀바디에 카본찌거기가 쌓이게 되면 흡기 불량으로 연비저하, RPM 불안정 증세가 나타나게 됩니다.

그러므로 주기적인 흡기계통 세정제로 청소를 해줘야 흡기기능이 원활하게 작동됩니다.


fab3eb9dbffc33e2157fc436a5a14be3_1666143359_3556.jpg

이 스로틀바디는 스로틀 밸브, 스로틀 위치센서, ICS 모터등으로 구성이 되는데요.

스로틀 위치센서(TPS : Throttle Position Sensor)는 스로틀밸브의 개방 각도를 감지하는 센서로 해당센서에 이상발생시 엔진 공회전 불규칙, RPM 불안정이 발생하게되어 필요에 따라 정비소에서 점검을 받아야 합니다.

ICS 모터(Idle Speed Control Motor)는 엔진공회전 속도 제어기로 공회전 시 RPM을 일정수준으로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합니다.

정차시에도 시동이 꺼지지 않게 RPM을 유지시켜 주는데요.

이러한 ICS모터에 카본찌꺼기가 샇이게 되면 구멍을 막아 RPM불안정과 소음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래서 주기적으로 흡기계통 세정제로 카본찌꺼기를 제거해 줘야 합니다.

MAP(Mainfold Absoulte Pressure) 센서 : 맵센서란 흡기 매니폴드(공기와 연료의 혼합가스가 지나가는 다기관) 내의 절대압력 (MAP)을 측정하는 센서를 말합니다.


fab3eb9dbffc33e2157fc436a5a14be3_1666143378_9682.jpg

여기서 측정된 절대압력을 기준으로 실린더에 연료를 얼마나 분사할지 ECU가 결정하게 되는데요.

흡기 매니폴드에 카본찌꺼기가 많이 쌓였을 경우 압력측정이 제대로 되지 않아 엔진 부조와 RPM 불안정 현상이 일어나게 됩니다.

카본찌꺼기를 제거하였는데도 증상이 나아지지 않는다면 정비소에서 맵센서 점검이 필요합니다.

2. 점화플러그 노후화 혹은 불량


fab3eb9dbffc33e2157fc436a5a14be3_1666143394_8325.jpg

점화플러그는 실린더 내 연료와 공기의 혼합가스를 폭발시키기 위해 전기불꽃으로 점화하는 장치입니다.

점화코일은 점화플러그의 불꽃을 발생하게 유도해 주는 역할을 하며, 불꽃이 발생할 때마다 손상되는 소모성 부품이기도 하기때문에 정기적으로 교체가 필요하답니다.

점화코일 이상으로 인한 점화플러그 오작동, 노후화된 점화플러그 사용, 점화플러그 장착 불량 등의 이유로 폭발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으면 RPM이 불안정해지거나 시동이 꺼질수도 있습니다.

3. 산소센서 불량


fab3eb9dbffc33e2157fc436a5a14be3_1666143413_1699.jpg

산소센서는 엔진 머플러에 부착된 센서로, 배기가스에 포함된 산소량을 측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산소센서에 문제가 생기면 제대로 된 산소농도를 측정할 수 없으며 산소농도에 따른 연료 공급량 계산에도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이로인해 RPM이 불안정해지고 엔진부조가 발생하게 되는데요.

산소센서에 이상이 있는 경우 계기판에 수도꼭지 모양의 경고등이 뜰수있으니 확인해 본후, 증상이 계속되면 정비소에서 점검 및 교체가 필요합니다.

이상으로 RPM이 불안정한 원인과 해결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RPM 불안정 현상은 엔진문제와 직결되기 때문에 주기적인 점검과 정비가 중요합니다.

특히 추운 겨울철에 더 빈번히 발생하는 현상이기 때문에 날씨가 추워지기 전에 미리 점검해 보시길 바랍니다.

본글은 불스원 포스팅을 참조하였습니다.

지금까지 미소카닷컴이었습니다.


fab3eb9dbffc33e2157fc436a5a14be3_1666143434_1287.png
fab3eb9dbffc33e2157fc436a5a14be3_1666143434_0387.png
fab3eb9dbffc33e2157fc436a5a14be3_1666143433_9245.png
 

0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쓰기

적용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