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마크

차량관련 정보

변속기 종류에 관한 이야기

본문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는 내연기관, 즉 엔진입니다.

그런데 엔진은 1분에 수천 번 돌아가는 강력한 회전력을 갖는데요.

이 회전력을 그대로 바퀴에 전달하기 위해서는 엔진의 회전수를 속도에 알맞게 변화시킬 필요가 있는데, 역할을 수행하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 바로 변속기입니다.

변속기는 자동차가 발전을 거듭하면서 그 기술력이 같이 발전했습니다.

사람이 직접 변속단을 조작하는 수동변속기에서 시작해 편리한 자동변속기가 탄생했고, 더 나은 동력 전달과 연료 효율을 위해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죠.

오늘날까지 발전된 변속기는 어떤 것이 있을지 알아보았습니다.

수동 변속기

6328396b40a6d8023f53e8cee1f7765c_1695009701_1453.jpg
 

수동변속기는 현대적의 개념의 변속기 가운데 가장 먼저 등장했습니다.

이름 그대로 변속을 위한 모든 과정을 운전자가 조작하는 방식인데요.

클러치를 밟아 자동차의 동력을 끊고 변속 레버를 조작해 기어 단수를 올리거나 내려야 합니다.

원하는 속도에서 자유로운 변속이 가능하고, '손맛'이라 불리는 특유의 체결감도 있어 운전의 재미를 높여주기도 합니다.

이후에 설명할 변속기 종류보다 구조가 간단해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도 있는데요.

자동변속기 기술이 발전하기 이전에는 효율성 역시 수동변속기가 높았습니다.

지금도 유럽 등 해외에서는 특히 수동변속기 달린 차를 흔하게 만나볼 수 있었는데요.

자동변속기와 전기차 보급률이 높아지는 현재 수동변속기의 비율은 지속적으로 감소되는 추세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일부 차종을 제외하면 수동변속기 달린 신차를 만나보기는 어려운 상황이죠.

자동 변속기

6328396b40a6d8023f53e8cee1f7765c_1695009719_174.jpg
 

자동변속기는 1930년 미국 올즈모빌 사가 처음 개발해 보급됐습니다.

그 이름대로 사람이 직접 조작하지 않고 스스로 변속하는 장치입니다.

엔진의 동력이 토크컨버터라는 부품을 지나 변속기로 전달되고, 자동차의 속도나 부하에 따라 변속기 내부의 기어가 조합되는 식으로 변속이 이루어지는데요.

이 덕분에 기어 변속 실수나 조작 미숙으로 인한 시동 꺼짐, 운전자 피로 등을 크게 예방할 수 있게 됐습니다.

과거 자동변속기는 고급차를 중심으로 보급됐습니다.

편리한 운전이 가능하고 변속 충격이 적어 높은 승차감을 확보할 수 있었기 때문이죠.

물론 복잡한 구조로 인해 비싸기도 했습니다.

지금은 자동변속기의 동력 효율과 기술력이 크게 발전해 이전보다 가격도 낮아지고 보급률도 크게 상승했습니다.

CVT (무단 변속기)

6328396b40a6d8023f53e8cee1f7765c_1695009732_3028.jpg
 

일반적으로 변속기를 '기어'라고 표현하죠.

보통의 변속기는 1단, 2단, 3단같이 기어가 맞물리는 방식이지만, 무단변속기는 서로 다른 풀리의 직경을 변화함으로써 연속적인 변속을 진행한다는 점에서 기존 변속기와의 구조 차이가 큽니다.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정해진 단수가 없다는 의미에서의 '무단변속기', 영어로는 동력 전달을 담당하는 풀리의 직경이 연속적으로 변화한다는 의미에서 CVT(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연속 가변 변속기)라는 명칭으로 부릅니다.

무단변속기의 가장 큰 장점은 빠르고 부드러운 변속입니다.

기어의 헛도는 느낌 없이 저속에서 고속까지 직결감이 그대로 유지되어 가속성능과 연비가 좋아집니다.

작고 가벼운 데다 구조도 단순해서 소형차에도 적용이 쉽다는 장점도 있고요.

DCT (듀얼클러치 변속기)

6328396b40a6d8023f53e8cee1f7765c_1695009747_5943.jpg

DCT는 자동변속기보다는 자동화된 수동변속기에 가깝습니다.

변속기의 내부 구조가 수동변속기 방식에 가깝기 때문인데요.

다만 수동변속기와 다른 것은 동력을 전달하는 축이 두 개라는 점입니다.

두 축은 홀수 단과 짝수 단의 기어가 연결되어 있고 각각의 클러치도 있습니다.

듀얼 클러치라는 이름은 여기에서 유래한 것이죠.

주행 중에는 다음 단수에 해당하는 축이 미리 변속을 끝내놓고 있다가 클러치만 연결되는 방식으로 작동됩니다.

이때의 변속 속도는 다른 어떤 변속기보다도 빠르고 부드럽습니다.

변속을 담당하는 축과 클러치가 2개 있으니 각자의 역할이 무척 여유롭죠.

때문에 같은 엔진 성능을 발휘하더라도 다른 변속기에 비해 DCT 쪽이 성능과 연비 모두 우위에 있게 됩니다.

이상 오늘날 자동차에 들어가는 일반적인 변속기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다소 복잡할 수도 있지만, 자동차의 성능과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정말 많은 기술력이 들어간다는 점이 오늘 이야기의 핵심입니다.

여러분의 자동차에는 어떤 변속기가 장착되어 있고, 또 어떤 변속기를 가장 선호하시나요?

본글은 VIEWH 포스팅을 참조하였습니다.

지금까지 미소카닷컴이었습니다.


6328396b40a6d8023f53e8cee1f7765c_1695009767_1518.png
6328396b40a6d8023f53e8cee1f7765c_1695009767_1911.png
 

0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쓰기

적용하기